SpringBoot5 Spring Data JPA 에서 공간 정보(Spatial Data) 사용하기 Spatial Data Type은 공간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유형이다. 이 데이터 유형은 지리적인 위치 정보나 공간 상의 객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는 Spatial Data Type을 지원하기 위한 확장 기능이 제공된다. Spring Data JPA + mariadb 간단한 샘플 코드를 통해서 Spatial Data Type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기록한다. 사전조건 로컬 환경에 mariadb 데이터 베이스가 실행되고 있다고 가정하겠다. mariadb 접속 정보 설정이 되어 있다고 가정하겠다. SpringBoot 3.1 이상 버전의 경우 springboot docker compose를 사용하여 mariadb 설치 및 설정 .. 스프링부트 2023. 11. 1. Spring REST 컨트롤러에서 HTTP 헤더 읽기 Spring 컨트롤러에서 HTTP 헤더를 읽는 방법을 소개한다. @RequestHeader annotation HttpServletRequest 인스턴스 @RequestHeader annotation Spring은 전체 또는 특정 헤더 값을 컨트롤러 메서드의 인수로 맵핑하는 @RequestHeader annotation을 제공한다. @RequestHeader annotation 유형은 파라미터이다. HashMap을 통한 HTTP 헤더 읽기 @RequestHeader annotation을 사용해 모든 HTTP 헤더를 Map 인스턴스에 맵핑한다. @PostMapping(value = "/read-header-map") public void readHeader(@RequestHeader Mapheaders) .. 스프링부트 2023. 10. 29. spring-boot-starter-parent 와 spring-boot-dependencies Spring Boot는 최소한의 구성 작업으로 프로덕션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Spring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하는 프로세스를 간소화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를 위해 Spring Boot 기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본 구성 및 종속성을 제공하는 특별한 상위 프로젝트인 spring-boot-starter-parent 가 만들어졌다. spring-boot-starter-parent 에 지정된 종속성을 통해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여러 종속성들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spring-boot-starter-parent 관련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https://central.sonatype.com/artifact/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p.. 스프링부트 2023. 8. 15. spring boot 필드값 조건별 validation 하기 - json subtype 앞선 포스팅에서는 custom annotation 을 만들어서 조건별 validation 을 적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JsonTypeInfo 와 @JsonSubTypes 어노테이션을 이용하여 조건별 validation 을 적용하는 방법을 기록한다. @JsonTypeInfo 와 @JsonSubTypes 는 특정 필드의 값에 따라서 Serialization, Deserialization 을 수행하는 클래스를 별도로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조건별로 validation 을 처리하는데 이용할 수 있을듯 하여 샘플을 만들어 보았다. 코드 구현 야구선수 등록 API 가 있고 야구선수 등록 데이터에는 uid, 이름, 선수타입, 타율, 홈런수, 방어율, 다승수 데이터가 있다. 선수타입에는 타자,.. 스프링부트 2023. 7. 29. spring boot 필드값 조건별 validation 하기 - custom annotation REST API 를 개발하다 보면 특정 필드의 값에 따라서 다른 필드에 값이 반드시 존재해야 하는 케이스가 생긴다. Spring 에서는 어노테이션 기반으로 필드의 유효성을 체크할 수 있도록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위와 같이 특정 필드 값에 따라서 다른 필드에 값이 반드시 존재해야 하는 경우에 대한 체크는 제공하지 않는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특정 필드 값에 따른 조건별 유효성 체크 방법에 대해서 기록한다. @Valid 와 @Validated @Valid 와 @Validated 의 가장 큰 차이는 아래와 같다고 생각한다. Spring 에서는 메서드 수준 유효성 검사에 JSR-303 의 @Valid 어노테이션을 기본적으로 사용하지만 그룹 유효성 검사를 지원하지 않는다. 그룹 유효성 검사는 유효성 검사 마커를 정의.. 스프링부트 2023. 7. 29. 이전 1 다음 💲 추천 글